프로베니우스 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베니우스 군은 유한 집합 위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유한군을 의미한다. 프로베니우스 군 G는 작용하는 집합 S가 두 개 이상의 원소를 가지며 추이적 작용을 하고, G의 비단위 원소 g에 대해 gs=s를 만족하는 s의 개수가 최대 1개이며, gs=s인 g와 s가 존재해야 한다. 프로베니우스 군 G는 프로베니우스 핵 K와 프로베니우스 여군 H의 반직접곱 G=K⋊H로 표현된다. 프로베니우스 군의 핵 K는 멱영군이며, 여군 H의 크기가 짝수이면 핵 K는 아벨 군이다. 프로베니우스 군은 표현론과 관련된 성질을 가지며, 대칭군, 이면군 등 다양한 예시가 존재한다.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열군 - 교대군
교대군 은 대칭군 의 짝순열 집합으로, 순열의 홀짝성을 나타내는 군 준동형의 핵이며, 일 때 개의 원소를 갖고, 는 위수가 60인 가장 작은 비가환 단순군으로서 군의 구조, 자기 동형군, 조합론적 문제 등 다양한 성질과 응용을 가진다. - 순열군 - 화환곱
화환곱은 군론에서 두 군의 구조를 결합하여 더 큰 군을 만드는 연산으로, 반군 작용을 통해 정의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결합 법칙을 따르며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유한군 - 공간군
공간군은 결정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230가지 수학적 군으로, 브라베 격자와 결정학적 점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병진 대칭, 점군 대칭 작용, 나사축, 미끄럼면 등의 대칭 작용을 포함하고, 결정 구조 이해와 물리적 성질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유한군 - 라그랑주 정리 (군론)
라그랑주 정리(군론)는 군 G와 부분군 H에 대해 |G| = |G:H||H|가 성립하며, 유한군 G의 경우 |H|가 |G|의 약수임을 나타낸다.
프로베니우스 군 |
---|
2. 정의
유한군 ''G''가 어떤 유한 집합 ''S'' 위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작용을 갖는다면, ''G''를 '''프로베니우스 군'''이라고 한다.
- ''S''는 두 개 이상의 원소를 갖는다.
- 추이적 작용이다.
- 임의의 ''g''∈''G''에 대하여, 만약 ''g''≠1이라면 |{''s''∈''S'' : ''gs''=''s''}|≤1이다.
- ''gs''=''s''이며 ''g''≠1인 ''g''∈''G'' 및 ''s''∈''S''가 존재한다.
프로베니우스 군 ''G''의 원소들 가운데, 어떤 한 점 ''s''∈''S''의 안정자군 ''Sx''를 ''G''의 '''프로베니우스 여군'''(-餘群, Frobenius complement영어) ''H''≤''G''이라고 한다. (이러한 군들은 모두 서로 켤레 동형이다.) 주어진 프로베니우스 여군 ''H''≤''G''에 대하여, '''프로베니우스 핵'''(-核, Frobenius kernel영어) ''K''◁''G''은 다음과 같은 원소들로 구성된 정규 부분군이다. (이러한 부분 집합은 항상 정규 부분군을 이룸을 보일 수 있다.)
- ''K''={1}∪(''G''∖∪''g''∈''G''''gHg''-1)
프로베니우스 핵은 프로베니우스 여군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G''는 프로베니우스 핵과 프로베니우스 여군의 반직접곱이다.
:''G''=''K''⋊''H''
주어진 유한군 ''G''에 대하여, ''G''가 프로베니우스 군이 되게 하는 작용들은 모두 서로 동형이다.
''G''가 집합 ''X''의 순열로 구성된 프로베니우스 군이라고 가정하자. ''X''의 점을 고정하는 ''G''의 부분군 ''H''를 '''프로베니우스 여군'''이라고 한다. 항등원과 ''H''의 어떤 켤레에도 속하지 않는 모든 원소는 '''프로베니우스 핵''' ''K''라고 하는 정규 부분군을 형성한다. (이것은 프로베니우스의 정리이며, 표현론을 사용하지 않는 이 정리의 증명은 아직 없다. [1]) 프로베니우스 군 ''G''는 ''K''와 ''H''의 반직접곱이다.
:''G''=''K''⋊''H''
3. 성질
프로베니우스 군 $G$의 프로베니우스 핵이 $K$이며, 프로베니우스 여군이 $H$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K$는 멱영군이다.[1]
- $H$의 크기가 짝수라면, $K$는 아벨 군이다.[1]
- $H$의 임의의 부분군 $A\le H$에 대하여, $A$의 크기가 두 소수의 곱이라면, $A$는 순환군이다.[1]
프로베니우스 핵과 프로베니우스 여군은 매우 제한된 구조를 가진다. 프로베니우스 핵 $K$는 멱영군이다.[1] $H$가 짝수 차수를 가지면 $K$는 아벨 군이다. 프로베니우스 여군 $H$는 차수가 2개의 소수의 곱인 모든 부분군이 순환군이라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그 실로우 부분군이 순환군 또는 일반화된 사원수 군임을 의미한다.
4. 표현론
프로베니우스 군 의 프로베니우스 핵이 이며, 프로베니우스 여군이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복소수 기약 표현들은 다음 두 종류 가운데 하나이다.
- 의 복소수 기약 표현 에 대하여, 라면 는 의 복소수 기약 표현이다.
- 의 복소수 기약 표현 에 대하여, 만약 가 자명한 1차원 표현이 아니라면, 에 대한 유도 표현 역시 의 복소수 기약 표현이다.
5. 예시
대표적인 프로베니우스 군의 예는 다음과 같다.
- 가장 작은 예는 6개의 원소를 갖는 대칭군이다. 프로베니우스 핵 ''K''는 차수가 3이고, 보수 ''H''는 차수가 2이다.
- 각 유한체 ''Fq''에 대해, ''q'' (> 2)개의 원소를 갖는 가역 아핀 변환 , 을 ''Fq''에 자연스럽게 작용하는 군은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앞선 예는 세 개의 원소를 갖는 체인 ''F3''에 해당한다.
- 파노 평면의 공선형 변환군의 차수 21인 부분군은 한 점을 고정하는 3배 대칭 σ와 모든 7개의 점의 순환 순열 τ에 의해 생성되며, στ = τ2σ를 만족한다. ''F''8×을 파노 평면과 식별하면, σ는 ''F''8의 프로베니우스 자기 동형 사상 σ(''x'') = ''x''2의 제한으로, τ는 0 또는 1이 아닌 임의의 원소(즉, ''F''8의 순환 곱셈군의 생성원)를 곱한 것으로 취할 수 있다. 이 프로베니우스 군은 파노 평면의 21개의 깃발(표시된 점이 있는 선)에 단순히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 차수 2''n''인 이각형군은 ''n''이 홀수일 때 차수 2의 보수를 갖는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더 일반적으로 ''K''가 홀수 차수의 임의의 아벨 군이고 ''H''가 차수 2를 가지며 반전으로 ''K''에 작용하면, 반직접곱 ''K.H''는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 프로베니우스 군의 프로베니우스 보수를 비자명한 부분군으로 대체하면 다른 프로베니우스 군을 얻는다. 두 개의 프로베니우스 군 ''K''1.''H''과 ''K''2.''H''가 있으면 (''K''1 × ''K''2).''H''도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 ''K''가 지수 7을 갖는 차수 73의 비아벨 군이고 ''H''가 차수 3의 순환군이면, ''H''에 대한 ''K''의 확장인 프로베니우스 군 ''G''가 존재한다. 이것은 비아벨 핵을 갖는 프로베니우스 군의 예시를 제공한다. 이것은 비아벨 핵을 갖는 프로베니우스 군의 첫 번째 예시였다(오토 슈미트에 의해 구성되었다).
- ''H''가 차수 120의 군 ''SL''2(''F''5)이면, 11개의 원소를 갖는 체 위의 2차원 벡터 공간 ''K''에 고정점을 자유롭게 작용한다. 확장 ''K.H''는 비가해 프로베니우스 군의 가장 작은 예이다.
- 자센하우스 군의 한 점을 고정하는 부분군은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 피팅 부분군이 임의로 큰 멱영 계열을 갖는 프로베니우스 군은 이토에 의해 구성되었다: ''q''를 소수 거듭제곱, ''d''를 양의 정수, 그리고 ''p''를 ''q'' −1의 소수 약수로, ''d'' ≤ ''p''를 만족한다. 차수가 ''q''인 어떤 체 ''F''와 이 체의 차수가 ''p''인 어떤 원소 ''z''를 고정한다. 프로베니우스 보수 ''H''는 ''i,i''번째 항목이 ''z''''i''인 대각 행렬에 의해 생성되는 순환 부분군이다. 프로베니우스 핵 ''K''는 대각선에 1을 갖는 상삼각 행렬로 구성된 GL(''d'',''q'')의 Sylow ''q''-부분군이다. 핵 ''K''는 멱영 계열 ''d'' −1을 가지며, 반직접곱 ''KH''는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6. 다른 정의
유한군 가 프로베니우스 군이라고 가정했을 때, 집합 의 순열로 구성된 프로베니우스 군 에서 의 점을 고정하는 의 부분군 를 '''프로베니우스 여군'''이라고 한다. 항등원과 의 어떤 켤레에도 속하지 않는 모든 원소는 '''프로베니우스 핵''' 라고 하는 정규 부분군을 형성한다.[1] 프로베니우스 군 는 와 의 반직접곱이다.
:.
프로베니우스 핵과 프로베니우스 여군은 매우 제한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톰프슨은 프로베니우스 핵 가 멱영군임을 증명했다. 만약 가 짝수 차수를 갖는다면 는 아벨 군이다. 프로베니우스 여군 는 차수가 2개의 소수의 곱인 모든 부분군이 순환군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그 실로우 부분군이 순환군 또는 일반화된 사원수 군임을 의미한다. 모든 실로우 부분군이 순환군인 군을 Z-군이라고 하며, 특히 메타순환군이어야 한다. 이는 두 개의 순환군의 확장을 의미한다. 만약 프로베니우스 여군 가 가해적이지 않다면 자센하우스는 그것이 SL(2,5)와 30과 서로소인 차수의 메타순환군의 곱인 지수 1 또는 2의 정규 부분군을 가진다는 것을 보였다. 특히, 프로베니우스 여군이 그 도출 부분군과 일치한다면, 그것은 SL(2,5)와 동형이다. 만약 프로베니우스 여군 가 가해적이라면, 4개의 점에 대한 대칭군의 부분군인 몫을 갖는 정규 메타순환 부분군을 갖는다. 유한군은 비항등 군 원소가 0이 아닌 고정점을 갖지 않는 선형 변환에 해당하는 유한체 위의 충실한 유한 차원 표현을 갖는 경우에만 프로베니우스 여군이다.
프로베니우스 핵 는 피팅 부분군이기 때문에 에 의해 고유하게 결정되며, 프로베니우스 여군은 Schur-Zassenhaus 정리에 의해 켤레까지 고유하게 결정된다. 특히 유한군 는 최대 하나의 방법으로 프로베니우스 군이다.
가 정규 부분군 와 여군 의 반직접 곱이라고 가정하면, 중앙화 부분군에 대한 다음 제한 조건들은 가 프로베니우스 여군 를 갖는 프로베니우스 군이 되는 것과 동치이다.
- 의 모든 비항등원 에 대해, 중앙화 부분군 C''G''(''k'')는 K의 부분군이다.
- 의 모든 비항등원 에 대해 C''H''(''k'') = 1이다.
- H의 모든 비항등원 ''h''에 대해 C''G''(''h'') ≤ H이다.
7. 역사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가 도입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